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계성 종양과 음주 (해외 논문 번역해보기 1탄)
    경계성 종양 라이프 2020. 11. 23. 10:00
    728x90

    개인적으로 너무 궁금해서 알아보는 경계성 종양과 음주 간의 관련성. 구글에 borderline tumor alcohol로 검색하고 나오는 논문들을 순서대로 번역해보려고 한다. 어차피 논문의 초록 및 '결과' 위주로 보면 되는 거라, 오래 걸리지는 않을 거 같다. 

     

    일단 오늘은 검색했을 때 제일 처음 나오는 2003년에 나온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borderline and invasive ovarian cancer'이라는 논문을 번역해본다.  

    Abstract

    Objective: To examine the hypothesis that alcohol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ovarian cancer by conducting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Hawaii and Los Angeles, California.

     

    -> 목표 :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LA 인구 기반의 사례 대조 연구를 통해 알코올 섭취나 난소암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검증한다. 

     

    Methods: In-person interviews were obtained from 558 women with ovarian cancer and 607 population controls regarding lifetime alcohol consumption and other factors that may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ovarian cancer.

     

    -> 방법 : 대면 인터뷰는 난소암을 앓고 있는 558명의 여성과 평생 알코올 섭취와 아마도 난소암 발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기타 요인들을 통제한 607명의 인구로부터 얻어졌다. 

     

    Results: We found no overall association of alcohol drinking with the odds ratios (OR) for ovarian cancer. However, current alcohol drinkers, but not former drinkers, had a significantly lower OR for ovarian cancer compared with never drinkers (OR 0.69, 95% confidence interval [CI] 0.50, 0.96). Odds ratios for ovarian cancer associated with the current consumption of beer, wine, and spirits were also reduced, but were only significant for wine drinkers. Among current wine drinkers, women who drank red wine had a significantly reduced OR for ovarian cancer compared with never drinkers (OR 0.61, 95% CI 0.39, 0.94). The inverse association of current alcohol drinking with the OR for ovarian cancer was restricted to invasive tumors, especially the endometrioid cell type. The number of glasses of alcohol consumed on a weekly basis was inversely related to the OR for invasive ovarian cancer (P =.009): Current drinkers consuming 14 or more drinks per week had an OR of 0.36 (95% CI 0.19, 0.70) compared with never drinkers.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borderline serous tumors was associated with the use of spirits (OR 2.66, 95% CI 1.46, 4.85). The risk for borderline mucinous tumors was also significantly elevated for former wine drinkers.

     

    -> 결과 : 음주와 난소암의 발병비율(OR)과의 전반적인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전에 술을 마시지 않았지만, 현재 알코올을 섭취하는 사람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난소암에 대한 OR가 유의하게 낮았다 (OR 0.69, 95 % 신뢰 구간 [CI] 0.50, 0.96). 현재 맥주, 와인 및 증류주를 소비하는 사람들의 난소암 확률도 감소했지만, 와인을 마시는 사람에게만 유의미했다. 현재 와인을 마시는 여성 중, 적포도주를 마시는 여성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여성에 비해 난소암에 대한 OR이 현저히 감소했다 (OR 0.61, 95 % CI 0.39, 0.94). 현재 음주와 난소암의 반비례 관계는 침습성 종양, 특히 자궁 내막 세포 유형으로 제한되었다. 1주일마다 마신 알코올 잔 수는 침습성 난소암 발병과 반비례했다 (P = .009) : 현재 주당 14잔 이상의 술을 마시는 사람의 OR는 절대 술을 마시지 않은 사람과 비교할 때 0.36 (95 % CI 0.19, 0.70)였다. 유의미하게 경계성 장액성 종양의 위험을 높인 것은 증류주 소비였다. (OR 2.66, 95 % CI 1.46, 4.85). 경계성 점액성 종양에 대한 위험도 이전 와인을 마셨던 사람들에게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ssociation of alcohol consumption with the OR for ovarian cancer may vary by alcohol type, tumor invasiveness, and histology.

     

    -> 이러한 결과는 난소암 발병과 알코올 섭취의 연관성은 술의 종류, 종양 침습성 및 조직학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실 나에게 가장 의미 있었던 내용은 증류주가 경계성 장액성 종양의 위험과 연관성이 있다는 내용이었다. 흠.... 증류주는 주로 독한 술로, 우리나라 소주, 중국 고량주, 양주 등인데 나는 양주 특유의 향은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소주, 그리고 특히 고량주는 엄청 좋아하고 마셨는데;;;;;; 근데 논문을 본 전체적인 느낌은... 알코올과 난소암, 그리고 경계성 종양 간의 관련성이 뚜렷하게 밝혀지지는 않은 것 같다. 뭔가 아직 '미지의 영역' 같은 느낌?? 지금까지는 수술 이후로 술을 안 마시고 있긴한데, 계속 금주할 것인가, 말 것인가, 그것이 난제로다ㅎㅎㅎㅎ

    댓글

Designed by Tistory.